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오늘부터 평양에서 실질적 핵 협상을 벌인다. 어떻게든 이번 기회를 살려 비핵화와 남북 공존의 길을 열어야 한다. 나라와 민족의 앞날이 걸린 미·북 협상에서 걱정되는 부분 중 하나는 주한 미군 문제다. 미국이 "협상 대상이 아니다"라고 몇 차례 밝히면서 지금은 관심에서 다소 벗어난 듯하다. 하지만 미국 쪽 신호를 보면 실제론 '테이블 밑'에서 다루는 것 아니냐는 의심이 가시질 않는다.
주한 미군에 대한 최근 미국 정부 코멘트에는 "북한과 협상할 대상이 아니다. 한·미 간 문제다" 하는 표현이 반복된다. 문제는 이 말이 갖는 이중성이다. 언뜻 "주한 미군 철수는 없겠구나"라고 받아들이기 쉽다. 그러나 "북한과 협상해 철수하진 않겠지만 한·미 합의로 할 수는 있다"는 뜻도 된다.
트럼프 행정부의 지난 행적은 그런 의심을 하게 한다. 작년 7월 스티브 배넌 당시 백악관 수석 전략가는 "중국이 북핵을 막고 미국은 대가로 주한 미군을 철수하는 협상을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키신저 전 국무장관도 '주한 미군 철수 카드'를 조언했다. 실제 미·북 협상 국면이 열리자 매티스 국방장관은 "(주한 미군은) 북한과도 논의할 이슈의 일부가 될 것이다. 어떻게 될지 추정하지 않겠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북한 김영철과 만난 뒤 '주한 미군 문제를 논의했느냐'는 질문에 "우리는 거의 모든 것에 관해 이야기했다"고 답했다. 미·북 정상회담 전후에도 이어졌다.
회담 직전 매티스 국방장관은 싱가포르 국제회의에서 "주한 미군은 협상 대상이 아니다"면서도 "한·미가 협의를 통해 결정할 것"이라고 했다. 다음 날엔 "주한 미군은 어디 가지 않는다"고 했지만 "한·미 사이의 일"이라는 말도 빼먹지 않았다. 그러고 나서 김정은과 만나고 나온 트럼프 대통령 입에서 "주한 미군을 돌아오게 하고 싶다. 나는 가능한 한 빨리 병력을 빼내고 싶다"는 말이 나왔다. 이러니 '협상 대상 아니다'보다 '한·미가 다룰 일'이라는 데에 무게가 실린 건 아닌지 의심스러운 것이다.
미국으로선 동맹 정책과 국제사회의 신뢰 등을 고려할 때 주한 미군을 협상 카드로 쓴다고 할 수는 없다. 그러나 북한 역시 수십 년간 "조선반도 비핵화는 핵무기를 가진 군대가 한반도에서 없어지는 것"이라고 해왔다. 북한과 실제 협상했던 관계자들은 "북한이 미군 철수 요구 없이 핵 폐기만 할 리가 없다"고 말한다. 이렇게 쌍방의 원칙이 충돌할 때 외교에서 흔히 쓰는 방식이 별도 테이블로 나누는 것이다. 미국은 '테러범과 협상하지 않는다'고 하지만 실제론 뒤로 대가를 지불하는 경우가 있다. 북핵 문제도 그렇게 다룬 적이 있다.
-조선일보-
주한 미군에 대한 최근 미국 정부 코멘트에는 "북한과 협상할 대상이 아니다. 한·미 간 문제다" 하는 표현이 반복된다. 문제는 이 말이 갖는 이중성이다. 언뜻 "주한 미군 철수는 없겠구나"라고 받아들이기 쉽다. 그러나 "북한과 협상해 철수하진 않겠지만 한·미 합의로 할 수는 있다"는 뜻도 된다.
트럼프 행정부의 지난 행적은 그런 의심을 하게 한다. 작년 7월 스티브 배넌 당시 백악관 수석 전략가는 "중국이 북핵을 막고 미국은 대가로 주한 미군을 철수하는 협상을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키신저 전 국무장관도 '주한 미군 철수 카드'를 조언했다. 실제 미·북 협상 국면이 열리자 매티스 국방장관은 "(주한 미군은) 북한과도 논의할 이슈의 일부가 될 것이다. 어떻게 될지 추정하지 않겠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북한 김영철과 만난 뒤 '주한 미군 문제를 논의했느냐'는 질문에 "우리는 거의 모든 것에 관해 이야기했다"고 답했다. 미·북 정상회담 전후에도 이어졌다.
회담 직전 매티스 국방장관은 싱가포르 국제회의에서 "주한 미군은 협상 대상이 아니다"면서도 "한·미가 협의를 통해 결정할 것"이라고 했다. 다음 날엔 "주한 미군은 어디 가지 않는다"고 했지만 "한·미 사이의 일"이라는 말도 빼먹지 않았다. 그러고 나서 김정은과 만나고 나온 트럼프 대통령 입에서 "주한 미군을 돌아오게 하고 싶다. 나는 가능한 한 빨리 병력을 빼내고 싶다"는 말이 나왔다. 이러니 '협상 대상 아니다'보다 '한·미가 다룰 일'이라는 데에 무게가 실린 건 아닌지 의심스러운 것이다.
미국으로선 동맹 정책과 국제사회의 신뢰 등을 고려할 때 주한 미군을 협상 카드로 쓴다고 할 수는 없다. 그러나 북한 역시 수십 년간 "조선반도 비핵화는 핵무기를 가진 군대가 한반도에서 없어지는 것"이라고 해왔다. 북한과 실제 협상했던 관계자들은 "북한이 미군 철수 요구 없이 핵 폐기만 할 리가 없다"고 말한다. 이렇게 쌍방의 원칙이 충돌할 때 외교에서 흔히 쓰는 방식이 별도 테이블로 나누는 것이다. 미국은 '테러범과 협상하지 않는다'고 하지만 실제론 뒤로 대가를 지불하는 경우가 있다. 북핵 문제도 그렇게 다룬 적이 있다.
-조선일보-
'사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싱겁게 먹고, 살 빼고, 운동하고, 스트레스 줄이면 혈압약 두 개가 반 알싱겁게 먹고, 살 빼고, 운동하고, 스트레스 줄이면 혈압약 두 개가 반 알 (0) | 2018.07.13 |
---|---|
성실은 사실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힘든 일이며, 조금 달라지는 일도 정말 쉽지 않다 (0) | 2018.07.10 |
전략 없이 옳기만 한 말이 때론 거짓말만큼 위험하다 (0) | 2018.07.04 |
폼페이오 대신 볼턴이 전면에 나설 수도 (0) | 2018.07.03 |
영국 BBC는 "한국 승리로 독일을 제외한 전 세계가 즐거워하고 있다" (0) | 2018.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