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상징하는 고성이씨 문중 특별전이 오는 30일 경북 안동시 소재 한국국학진흥원에서 열린다.
27일 한국국학진흥원에 따르면 '은둔과 개혁, 군자의 삶'이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특별전은 이날 오전 10시 임청각에서 고성이씨 입향조 이증(李增) 선생의 탄신 600주년 고유행사가 마련된다.
안동 소재 임청각(臨淸閣)은 일제강점기 모든 가산을 처분하고 만주로 망명해 신흥무관학교를 세우고 무장해 독립운동의 토대를 만든 석주 이상용(1858~1932) 선생의 본가다.
9명의 독립운동가를 배출한 독립운동가의 산실로 대한민국의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상징하는 공간이기도 하다.
특히 임청각은 고성이씨의 500년 명문 종가로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을 지낸 이상룡 선생은 17대 종손이다.
최근 한국국학진흥원에서 발견한 '행촌친필(杏村親筆)'도 세간에 최초로 소개된다. 행촌친필은 화엄경의 필사본 서첩이다. 고려 말 최고의 명필로 알려진 행촌 이암(李嵒)이 송설체라 불리는 조맹부 서체의 단점을 보완해 완성시킨 보물급 자료이다.
행촌 이암(1297~1364)은 홍건적이 침입했을 때 공민왕을 호종해 안동으로 함께 피난했다. 이로써 고성이씨와 안동이 최초로 인연을 맺기도 한다.
한편, 고성이씨 문중은 역사의 격변기마다 수많은 시련을 겪어왔다.
이암은 고려 때 5명의 임금을 섬기는 동안 유배와 은둔을 거듭했다.그의 손자 용헌 이원(1368∼1430)은 임금에게 직언을 올리다가 유배를 가기도 했다.
이원의 아들 이증(1419~1480)은 계유정난이 일어나자 혼란한 정국을 뒤로하고 안동에 정착해 은둔생활에 들어갔다.
이증의 둘째아들 이굉과 셋째아들 이명도 갑자사화 당시 영해와 영덕에 각각 유배됐다가 안동으로 와서 귀래정(歸來亭)과 임청각을 세우고는 함께 만년을 보냈다.
이증의 손자인 이육은 거듭된 사화로 집안에 우환이 덮치자 벼슬을 버리고 청도 유곡으로 가서 일생을 후학양성에 힘을 쏟았다.
이처럼 안동과 청도에 자리잡은 고성이씨는 고려와 조선을 거쳐 일제강점기에 이르기까지 유배와 은둔생활을 거듭해왔다.
하지만 시대적 현실을 좌시하지 않고 의리와 명분으로 맞서면서 세상을 향한 개혁의지를 표출해왔다. 이것이 바로 고성이씨 문중이 추구해왔던 군자로서의 삶이라는 평가다.
-뉴시스-
27일 한국국학진흥원에 따르면 '은둔과 개혁, 군자의 삶'이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특별전은 이날 오전 10시 임청각에서 고성이씨 입향조 이증(李增) 선생의 탄신 600주년 고유행사가 마련된다.
안동 소재 임청각(臨淸閣)은 일제강점기 모든 가산을 처분하고 만주로 망명해 신흥무관학교를 세우고 무장해 독립운동의 토대를 만든 석주 이상용(1858~1932) 선생의 본가다.
9명의 독립운동가를 배출한 독립운동가의 산실로 대한민국의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상징하는 공간이기도 하다.
특히 임청각은 고성이씨의 500년 명문 종가로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을 지낸 이상룡 선생은 17대 종손이다.
최근 한국국학진흥원에서 발견한 '행촌친필(杏村親筆)'도 세간에 최초로 소개된다. 행촌친필은 화엄경의 필사본 서첩이다. 고려 말 최고의 명필로 알려진 행촌 이암(李嵒)이 송설체라 불리는 조맹부 서체의 단점을 보완해 완성시킨 보물급 자료이다.
행촌 이암(1297~1364)은 홍건적이 침입했을 때 공민왕을 호종해 안동으로 함께 피난했다. 이로써 고성이씨와 안동이 최초로 인연을 맺기도 한다.
한편, 고성이씨 문중은 역사의 격변기마다 수많은 시련을 겪어왔다.
이암은 고려 때 5명의 임금을 섬기는 동안 유배와 은둔을 거듭했다.그의 손자 용헌 이원(1368∼1430)은 임금에게 직언을 올리다가 유배를 가기도 했다.
이원의 아들 이증(1419~1480)은 계유정난이 일어나자 혼란한 정국을 뒤로하고 안동에 정착해 은둔생활에 들어갔다.
이증의 둘째아들 이굉과 셋째아들 이명도 갑자사화 당시 영해와 영덕에 각각 유배됐다가 안동으로 와서 귀래정(歸來亭)과 임청각을 세우고는 함께 만년을 보냈다.
이증의 손자인 이육은 거듭된 사화로 집안에 우환이 덮치자 벼슬을 버리고 청도 유곡으로 가서 일생을 후학양성에 힘을 쏟았다.
이처럼 안동과 청도에 자리잡은 고성이씨는 고려와 조선을 거쳐 일제강점기에 이르기까지 유배와 은둔생활을 거듭해왔다.
하지만 시대적 현실을 좌시하지 않고 의리와 명분으로 맞서면서 세상을 향한 개혁의지를 표출해왔다. 이것이 바로 고성이씨 문중이 추구해왔던 군자로서의 삶이라는 평가다.
-뉴시스-
'사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일 전쟁이 발생한다면 역사의 철칙이어서가 아니라 두 사회가 마땅히 해야 할 일을 하지 않고 잘못된 행동 때문” (0) | 2018.03.30 |
---|---|
남의 악에 대해 말하는 것은 마음이 험한 것이고, 하류에 있으면서 윗사람을 헐뜯는 것은 질투이다 (0) | 2018.03.29 |
한반도의 운명이 트럼프 대통령의 당일 기분에 따라 결정될 수도 (0) | 2018.03.26 |
중국 공산당만큼 일찍부터 선전 선동술을 중시해온 정치세력도 없다. (0) | 2018.03.23 |
미국 편에 서서 동맹에 참여할 것이냐, 아니면 관세 폭탄을 얻어맞을 것이냐를 선택하라는 압력 (0) | 2018.03.22 |